학문공동체
한국인사행정학회
정, 보완하여 한 차례 개정판을 내었지만, 이번에는 책의 편성과 내용을 대폭 재구성 하고 책 제목을 [한국 정부관료제]로 바꾸어 출간하게 되었다. 책 제목을 바꾼 것은 무엇보다도 이 책이 우리나라 정부관료제에 초점을 맞춘 것임을 강조하기 위해서이 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편에서는 정부관료제 연구의 전반적 흐름과 정부관 료제에 관한 일반이론을 소개하였다. 제2편에서는 한국 정부관료제 내부의 인적 구 성, 구성원 간 상호관계, 행정문화 등을 다루었다. 제3편에서는 공조직으로서의 한국 정부관료제의 내적 특성과 장, 단점, 생산성, 조직개편 등을 검토하였다. 제4편에서 는 한국 정부관료제를 정책과정상의 주요 주체로 간주하여 그 활동 양상을 다각적으 로 살폈다. 제5편에서는 한국 정부관료제가 정책과정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역할이 민 주주의에 부합되는지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 책의 의도 역시 [정부관료제: 이론과 실제]에서처럼 한국적 상황에 대한 문제의 식을 바탕으로 서구 이론의 적용을 통해 한국 정부관료제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관찰하 고 설명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몆 가지 측면에서 [정부관료제: 이론과 실제] 와 차별화된다. 우선, [정부관료제: 이론과 실제]에서 책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있던 서구 문헌을 중 심으로 한 정부관료제의 기본이론에 관한 장들을 한 곳으로 모아 제1편 ‘정부관료제 일반 이론’에서 한꺼번에 소개하고, 제2편 이하 나머지 장들은 모두 한국 정부관료제 에 관한 내용만으로 기술하는 식으로 책을 새롭게 편성하였다. 둘째, 기존의 장들 가운데 일부를 삭제하고 새로운 장들을 추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사회문화와 행정행태,’ ‘정부조직개편의 정치, 행정적 함의,’ ‘정부관료제 와 민주주의: 갈등과 조화’ 등 내용의 적시성이나 구체성이 다소 떨어진다고 판단되 는 일부 장을 삭제하였다. 그 대신, 제11장 ‘한국 공무원의 주요 리더십 역량,’ 제 13장 ‘한국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비판,’ 제14장 ‘정부조직개편의 한계와 부작용: 2008년 한국조직개편 사례,’ 제18장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제19 장 ‘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제23장 ‘한국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의미와 인식’을 추가하였다. 셋째, 기존 장에 새로운 내용을 보강하는 식의 수정도 일부 이루어졌다. 제6장 ‘한 국 장관임면 관행과 개선방안’의 경우, 노무현 정부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고, 제7 장 ‘한국의 정무직 공무원과 직업관료: 정책성향과 상호관계’에 있어서는 2006년의 실증조사 결과를 더 하였다. 이 밖에도 제6장 ‘한국 장관임면 관행과 개선방안’에서는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인 사검증에 관한 사항을, 제16장 ‘한국 정책과정상 부처 간 권력관계’에서는 최근의 융합행정 사례를, 각각 참고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으로 우리나라 중앙공무원 의 계급별 현원 등에 관한 통계 자료 등을 수록하였다. [정부관료제: 이론과 실제]가 그렇듯이 이 책의 내용도 대부분 학술지에 게재되었 던 저자의 기존 논문을 재구성한 것이어서 각장 간에 논리적 연계와 일관성이 부족하 다. 뿐만 아니라, 경험적 조사 결과를 담고 있는 일부 장의 경우 조사 시점이 오래되 어 현실과 괴리가 있을 수 있다. 이들 한계를 극복하면서 책의 참신성과 완성도를 높 여나가는 것이 저자에게 주어진 앞으로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목 차 제1편 정부관료제 일반 이론 제1장 정부관료제 연구의 특성과 과제 제2장 정책과정에서의 공무원 계층별 역할과 행태 제3장 행정기관의 조직 특성과 현실적 함의 제4장 조직문화의 특성과 관리 제5장 관료제 조직의 속성과 역기능 제2편 한국 정부관료제의 인적 구성과 내적 행태 제6장 한국의 장관임면 관행과 개선방안 제7장 한국의 정무직 공무원과 직업관료: 정책성향과 상호관계 제8장 한국 행정문화의 특성과 연구과제 제3편 조직으로서의 한국 정부관료제 제9장 한국 공무원의 성별 직무관련 태도 제10장 한국 공무원의 직무성격과 직무동기 제11장 한국 공무원의 주요 리더십 역량 제12장 한국 공무원 징계와 퇴출: 실태와 대안 제13장 한국 정부조직개편에 대한 비판 제14장 정부조직개편의 한계와 부작용: 2008년 한국조직개편 사례 제4편 한국 정부관료제와 정책과정 제15장 다원주의적 정치환경과 한국 관료 제16장 한국 정책과정상 부처간 권력관계 제17장 한국 이익집단과 정부관료제의 관계 제18장 한국 여성공무원의 여성대표적 역할 제5편 한국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제19장 정부관료제와 민주주의: 한국 정부관료제의 책임과 통제 제20장 고객지향적 행정과 한국 정부관료제의 대응성 제21장 고객지향적 행정의 실천과 한국 관료 제22장 시민참여와 한국 정부관료제의 수용성 제23장 한국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의미와 인식 제24장 한국 정부관료제에 대한 시민 불신 저자[역자] 약력 건국대학교 법학과 졸업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졸업 미국 오하이오 대학 정치학 석사 미국 워싱턴주립대학 정치학 박사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장 역임 한국행정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정책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역임 중앙인사위원회, 행정자치부, 기획재정부, 서울특별시 정책자문위원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 청와대 고위공직자인사검증자문위원 입법고시, 외무고시, 행정고시 출제위원 및 면접시험위원 중앙공무원교육원 겸임교수 역임 |
1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