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공동체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 이도형 (한국 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출판사: 이담 북스 책의 개요: 개발과 보전의 갈림길에서, 국가정책을 실제로 관장, 집행하는 정부관료들이“이 세상 모든 것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적 전일성과 자신도 생태계의 일부라는 생태적 존재성에 대한 뚜렷한 자각 아래, 생태적 가치의 학습과 그것을 촉진시키기 위한 생태윤리 및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을 체화해 나갈 때, 생태적 전환의 단초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관료들이 자신의 단 한 번의 잘못된 의사결정과 무의식적인 반(反)생태적 정책집행이 자연의 대반격 등 위험의 부메랑이 되어 되돌아옴을 깨닫고 더 이상의 반 생태적 행동을 스스로 경계할 때, 진정한 생태적 전환이 가능해진다. 우리는 여기서 생태주의와 행정철학 간 학문적 만남의 필요성을 발견하게 된다. 정부관료들의 진정한 생태적 계몽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실마리를 생태주의 행정철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영역의 정립을 통해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철학이 존재와 진리에 대한 문제를 고민하기 위한 올바른 사유와 가치부여의 과정이라면, 생태주의 행정철학은 생태주의의 학문적 본질과 생태문제 해결자로서의 현대 정부의 존재이유에 대한 철학적 사유와 더불어, 현대정부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생태적 가치의 구현과, 사회 전체의 생태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공무원 생태윤리 및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을 정립하려는 새로운 실천철학의 영역이다. 생태주의 행정철학에선 정부관료들이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생태주의적 사유에 정통할 것을 무엇보다 강조하는데, 이런 생태주의적 사유만이 인위적 통제 없이 자연의 이치 그 대로 행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며, 또 관료들이 종래 기술-개발관료로서의 환경 파괴자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생태관료(eco-crat)로서의 생태문제 해결자적 이미지로 변신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따라서 생태주의 행정철학은 생태관료육성의 철학적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책의 목차 제1편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정립 필요성과 그 구성체계 제1장 책의 들머리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학문적 의의 3. 연구목표 및 방법 제2장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이론적 배경: 관련 연구동향의 이론적 시사점 1. 생태주의의 연원과 생태주의 철학의 학문적 본질 2. 멀티 사이언스를 지향하는 인접 사회과학들의 이론적 함의 3. 녹색국가론, 녹색정부론의 이론적 시사점 제3장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정립 필요성 1. 인류문명의 발전과 각국 정부의 생태계 파괴 실상 2. 생태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관료 인식의 중요성 3.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정립 필요성 제4장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구성체계 1.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실천철학, 개혁철학적 성격 2.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구성체계: 생태관료 육성의 철학적 기반을 찾기 위한 Re-ing 모델의 전략적 재구성 제2편 생태주의 행정철학 I (성찰 및 가치 재구성의 철학) 제5장 생태주의적 행정존재론 1. 존재론 차원에서 본 인간-자연 관계와 생태적 전일성,생태적 존재성 2. 인간-자연 관계에 대한 인간 사유의 진화 3. 생태조절적 역할자, 생태 지속성 관리자로서의 정부 4. 국토생태의 현실과 지향점: 기능론적 토지관에서 생명의 장소로의 복귀 5. 생태적 존재성에 의거한 초록자아로서의 정부관료들 6. 환경 청지기로서의 생태관료 제6장 생태주의적 행정인식론 1. 개발국가 개발관료들의 생태주의 인식의 한계 2. 선조들의 생태적 지혜 3. 서구의 생태적 합리성과 생태적 근대화 논의 4. 생태관료의 인식체계와 구비요건들 5. 관료들의 생태주의 인식 및 학습 단계 6. 관료들의 마음변화를 위한 조직적 전략 및 정부 내 생태 친화적 행정담론의 형성 제7장 정부의 생태 친화적 존재가치론 1. 신 자유주의 시대에 노정된 기존 행정가치들의 적실성 한계 2. 정부의 대안적 존재가치를 논해야 하는 이유 3. 정부의 존재가치 구현에 응용할 만한 숲의 존재방식들 4. 숲의 존재방식에서 도출한 정부의 존재가치 구현전략들 제3편 생태주의 행정철학 II (개혁 및 행동의 철학 편) 제8장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의 방향 1. 사이비 녹색뉴딜의 정책철학적 허구성 성찰 2.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의 기본방향: 생태문제에의 전체론적 접근과 강한 생태적 근 대화 3.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의 정책부문별 응용 4. 한국형 녹색뉴딜의 한계 성찰과 생태 친화적 정책철학의 보완방향 제9장 생태 친화적 정부구조 개혁철학 1. 조직개편: 보전-개발부처의 단계적 통합과 녹색 구조조정, 녹색 자치의 철학 2. 절차개혁: 생태 민주주의 숙의절차를 마련하기 위한 녹색 거버넌스 운영철학 제10장 공무원 생태윤리론 1. 공무원 생태윤리 연구의 의의 2. 공무원 생태윤리 확립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공무원 생태윤리의 주요범주 및 행위규범들 4. 공무원 생태윤리의 현 수준 성찰: 4대강 사업을 예로 5. 공무원 생태윤리 확립의 전제조건들 제11장 생태적 리더십 철학의 학습방향 1. 사회전체의 생태적 전환을 이끌기 위한 무위 리더십 2. 생태적 대리인으로서의 서번트 리더십 3. 목수철학, 농부철학의 벤치마킹 제4편 생태주의 행정철학의 응용과제들 제12장 국제적 차원에서의 응용과제들 1. 외국 녹색정부들의 생태 친화적 사회설계 방식의 공유, 확산 2. 생물지역주의의 범세계적 확산을 위한 정부들의 역할 3. 후진국 생태발전을 위한 공정무역의 필요성과 제도적 지원 4. 환경정의 구현을 위한 범세계적 협력장치 마련 5. 실패국가 치유를 위한 범세계적 생태계 보호기금 조성 6. 식량안보 및 환경파괴 축소를 위한 로컬 푸드 운동의 생활화와 제도적 지원 제13장 국내 차원에서의 응용과제들 1. 발전의 진면목 도출과 발전철학의 수정 2. 대안적 발전 패러다임의 적용: 생태도시 만들기 3.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차원에서 본 생태-문화도시 전망 4. 생태주의 발전의 지역적 실천을 위한 마을 만들기 5. 녹색시민 만들기: 사람다운 불편의 즐거운 실천 6. 생태맹 극복과 생태적 감수성 제고를 위한 생태교육 저자소개: 연세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하고,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행정철학, 비교발전행정, 정부인력관리 등이며, 「행정학의 샘물」, 「지방자치의 하부구조」, ⌜행정철학⌟, 「비교발전행정론」(2인공저), 「정부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디지로그 공무원 만들기」 등의 책을 썼다. 현재 생태주의 철학, 대안적 발전 패러다임, 행정 민주주의 쪽의 자료를 모으고 공부하고 있다 (e-mail: ledoh@hanmail.net, blog: http://blog.daum.net/ledoh). |
1 2
|